![]() |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의 교통안전을 위해 관련한 각종 제도와 정책들이 도입되어 시행 중이지만, 현실은 안타까운 상황이다. 매년 광주·전남뿐만 아니라 전국 각지에서 어린이 관련 교통사고가 발생하며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
어린이 교통사고는 어른들의 부주의와 이기심이 불러오는 안전불감증에서 비롯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나 하나쯤이야” 혹은 “이 정도면 되겠지” 하는 안일한 생각으로 운전·운영을 하다 보니 찰나의 순간을 무시하게 되고, 이로 인해 현실에서는 어린이 교통사고들이 빈번히 나타나고 있다.
매년 경찰, 지자체, 교육청 등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어린이 통학버스’ 합동점검도 실시하고 있지만, 그와는 별개로 어린이 교통안전을 위해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개선할 부분은 없는지 확인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어린이 안전을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행 중이다. 경찰에서는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통사고 취약지역 위주로 노란색 횡단보도를 설치하는 것은 물론, 어린이보호구역 시작·종점 표시 등 신규 교통안전시설을 단계적으로 설치해 운전자의 시인성을 높이는 방법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운전자와 보행자들이 어린이 보호구역임을 잘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노란색 횡단보도 및 어린이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한 방호울타리(안전펜스) 확대 설치, 어린이보호구역 기·종점 등으로 누구나 어린이보호구역임을 쉽게 인식하고 보호받을 수 있어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운전자와 보행자 모두 교통법규를 지키면서 안전하게 도로를 이용해야겠지만, 특히 어린이들의 이용이 많은 어린이보호구역은 더욱더 주의 깊게 다가갈 필요가 있다.
우리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들이 보호받는 안전한 교통문화 조성을 위해 사회의 관심과 세심한 배려가 필요한 만큼 나부터 시작한다는 마음으로 도로교통법을 준수하는 우리 어른들의 노력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