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인구 적은데 매출 증가 '강진군의 비밀'
특별기고

<기고> 인구 적은데 매출 증가 '강진군의 비밀'

박경석 강진군 4차산업혁명활용추진단 데이터활용팀장

지방 소멸의 그림자가 짙어지고 있다. 전국 군 단위 지자체가 인구 감소, 고령화, 소비 침체 3중고에 겪는 가운데 강진군의 지역경제 활성화 모델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최근 강진군이 펼치고 있는 '강진 반값 여행' 정책과 대표 축제를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는 지방의 위기를 넘어 대한민국이 직면한 경제 문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강진군 사례가 주목받는 이유는 단순히 지역축제 성공이나 관광객 증가 때문만은 아니다. 관광과 지역상권, 지역화폐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자립형 소비 선순환 시스템'을 지자체 수준에서 완성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이는 타 지자체가 여전히 관광객 유입에만 집중하거나 상권 활성화에 국한된 사업을 추진하는 것과 확연한 차별점을 보여준다.

소상공인365 빅데이터 상권분석을 통해 최근 1년간 자료를 분석했다. 지난 2월 기준 강진읍 백반·한정식 업소 월평균 매출액은 1,314만원으로 전년 대비 19.4% 증가, 월평균 매출 건수 225건으로 21.6% 증가하는 등 지역 상권 체질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단순히 강진군 지역상권이 잘 버티고 있는 게 아니라 지역화폐와 관광객 소비 선순환 구조가 실질적인 경제 파급 효과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 있다.

인상적인 요인은 유동인구 1인당 월 소비액이다. 강진군은 42.8만원으로 인근 지역 20만원대와 비교하면 강진군 방문객의 소비 전환율 자체가 구조적으로 다른 수준이다. 강진군 성과는 우연이 아니다. 청자축제, 병영성축제, 수국길축제, 하맥축제, 강진만 춤추는 갈대축제 등 지역 축제로 관광객들이 지속적으로 강진을 찾고 있으며 반값여행과 지역화폐가 이들을 지역 상권 소비자로 전환시키는 구조가 강진군 전역에서 작동하고 있다. 반값여행, 축제 등이 관광객들만을 위한 것이 아닌 궁극적으로 지역민을 위한 정책이라는 반증이다.

최근 강진군이 축제와 지역경제를 연계하고 생활인구를 늘리는 전략을 추진하면서 반값 여행이라는 파격적이고 체감도 높은 정책을 통해 관광객 체류일수 증가, 읍내 상권 유입, 지역화폐 재소비 삼각 구도를 실현했기 때문이다. 며칠 전 유력인사가 강진을 방문했다. "여기 오신 분들 대부분 강진분들이 아니신 것 같은데 반값여행 즐기고 가세요~"라고 외치는 보니 강진 반값여행이 유명하긴 한가보다. 강진군을 찾는 이유는 뭘까. 조선시대 최고 실학자 다산 정약용의 실사구시와 오늘날 강진군의 반값강진여행, 지역축제를 통해 지역경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점이 강진 방문의 주된 이유라고 본다.

다른 지자체가 축제, 지역화폐, 상권을 각각 별도로 운영하거나 보여주기식 행사로만 추진한 것과 근본적 차이다. 강진군이 보여준 지역경제 선순환 모델은 향후 국가 정책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강진군의 농민수당, 생활인구 등 시책들은 정부 정책으로 채택된 사례가 다수다. 강진 육아수당 60만원 지급 정책은 출산율 2배라는 결과를 보이자 대선 공약에도 포함됐다. '반값 강진 관광'과 '지역화폐' 연계 정책 역시 곧 6·3 대선 이후 정부 공식 지역경제 활성화 정책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

대한민국은 수출로 먹고 살고 지방은 관광으로 먹고 산다는 말이 있다. 반값여행과 축제로 유명해진 강진은 돈을 많이 써서 그런 결과를 낳은 걸까. 지난 해 강진군 전체 예산 6,335억원 중 반값강진여행에 소비한 금액은 30억원, 축제는 40억원으로 전체 예산의 1%를 상회했다. 1%의 예산으로 관광객 증가, 생활인구 증가, 지역경제 성장에 기여했다면 살림을 아주 잘 한거다. 강진군 공직자들의 쉼없는 노력으로 지난해 국도비 확보액이 2,795억원이었다. 일 잘하는 강진군 공직자 소리도 들을 만하다.

이러한 성과는 단순한 시골 지자체 성공 사례로 머물러서는 안된다. 대한민국이 지방 소멸위기를 극복하고 지역균형 발전을 실현하기 위해 반드시 참고해야 할 국가적 표준 모델이다. 강진군이 보여준 이 길이 향후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길이 되기를 기대한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