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극 ‘나는 광주에 없었다’. ACC 제공 |
‘오월문화주간’의 문을 여는 공연은 1980년 5월 광주를 재현한 관객 참여형 연극‘나는 광주에 없었다’이다.
5·18민주화운동의 치열했던 10일간의 이야기를 배경으로 하는 ‘나는 광주에 없었다’는 전남대 정문에서부터 시작된 5·18민주화운동의 현장을 그대로 전달하고, 1980년 격정적인 시대를 겪어보지 못한 관객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이끈다. 관객은 무대 위에서 배우들과 함께 공연의 중요 역할로 참여하며 그날의 현장을 극적으로 경험한다. 이번 공연은 15~18일 예술극장 극장1에서 진행된다. 특히 올해는 수도권 관객들의 공연 관람을 돕고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더욱 확산하고자 공연 관람과 함께 5·18역사기행이 포함된 ‘메모리얼 투어’ 프로그램을 15~16일과 17~18일 두 차례 운영한다.
8세 이상 어린이를 위한 공연도 열린다. ‘꽃잠’은 한국과 크로아티아가 공동 제작한 작품으로, 전쟁 속 무너져버린 일상을 피해 깊은 잠에 빠져든 소녀 마리의 이야기다. 24~25일 ACC 어린이극장에서 만나볼 수 있다.
![]() ‘오월 어머니의 노래’. ACC 제공 |
![]() 민주·인권·평화 마당극제. ACC 제공 |
24일 예술극장 극장2에서 열리는 ‘오월어머니의 노래’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가족이 희생된 오월어머니들의 한을 노래로 승화한 공연이다. 오월어머니들과 지역의 문화예술인이 함께 만든 공연으로, 지난 2022년 첫 공연을 시작으로 해마다 전 국민과 오월의 가치를 나누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국악인이자 배우인 오정해씨가 참여해 오월어머니들의 절절한 사연이 보다 잘 전달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올해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맞아 민주·인권·평화라는 보편적 가치의 세계화를 위해 광주공연을 비롯해 일본 오사카 공연도 예정돼 있다.
이외에도 ‘ACC 민주·인권·평화 숏폼 영상 공모전’, ‘가슴에 묻은 오월이야기’, ‘오월이야기 퍼즐’, ‘ACC 평화이야기 보관소’ 등 풍성한 체험행사 및 교육프로그램이 가족단위 관람객을 맞는다. ‘오월문화주간’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ACC 누리집(www.acc.go.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은 “ACC는 다양한 문화행사를 통해 역사 속 아픔의 기록을 문화예술로 승화시키고자 한다”면서 “옛 전남도청이 있는 ACC 일원이 5·18민주화운동을 기억하는 교류의 장이자 미래를 이끌 문화의 공간으로 오롯이 자리매김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최진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