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길 잡힌 금호타이어, 주민 보상·고용 안정 ‘첩첩’
탑뉴스

불길 잡힌 금호타이어, 주민 보상·고용 안정 ‘첩첩’

나흘간 분진 등 피해 신고 1,582건
노조 “2500여 노동자 생계 최악”
“정부·지자체·기업 신속 대책을”

20일 광주 광산구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불이 난 건물을 철거하기 위해 잔해 정리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연합뉴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지역사회 곳곳에 검은 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 사고 수습을 위해 공장 가동이 최대 3년 이상 멈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당장 2,500여명에 이르는 노동자의 고용 불안정 문제가 최우선 과제로 떠올랐고, 매연과 분진으로 인해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들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사고 여파가 지역 사회와 경제에 막대한 피해를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현실화하면서 정부·지자체·기업의 신속한 대책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비등하고 있다.

20일 광주시와 금호타이어 등에 따르면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 근무하는 노동자는 기능직 1,853명, 사무직 413명, 비정규직 100명, 화물 85명 등 총 2,451명이다. 화재로 인해 현재 생산직 근로자 1,853명은 유급형태로 자택 대기를 하고 있다.

광주공장은 금호타이어 연간 전체 생산량(광주·평택·곡성) 2,700만본 중 약 44%인 1,200만본를 생산하고 있고, 협력업체도 60여개에 달하는 만큼 공장 가동 중단이 장기화 될 경우 지역 경제에 큰 파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지역경제계와 근로자들은 화재 피해에 대한 정부와 지자체의 실질적인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금호타이어지회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광주공장의 완전한 정상화는 최소 1년 6개월에서 최장 3년 이상 소요될 것으로 예측된다”며 “광주공장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들의 고용과 생계 문제는 역대 최악의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기한 공장 가동 중단으로 인해 중소 협력업체들의 줄도산 위기를 비롯, 노동자들의 불안정한 고용으로 소비가 축소되고 이로 인한 골목상권 등의 피해는 지역경제 전체의 침체와 쇠퇴를 불러올 것이다”며 “사측은 화재원인 분석에 기초해 신속하고 안전한 공장 정상화 대책을 마련하고, 정부와 지자체는 고용정책기본법에 따라 고용위기지역, 특별재난지역 선포 등 범정부적 차원의 모든 수단을 선제적으로 조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광주상공회의소도 이날 성명을 통해 “이번 화재로 주요 생산시설이 큰 피해를 입고 공장 가동이 전면 중단된 것은 지역경제와 산업생태계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매우 우려스러운 상황”이라며 “공장 중단이 장기화할 경우 협력업체와 근로자들이 고용 불안과 생계 위협에 직면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신속한 고용정책심의를 통해 해당 지역을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하고, 고용유지지원금 확대, 일시휴업 보상, 협력업체 지원 대책 등 고용 안정 방안을 함께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화재 분진 연기 등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인근 주민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인근 주민은 어룡동 3만3,300여명, 송정 1·2동 1만5,000여명, 도산·신흥동 1만8,000여명 등 총 6만7,000여명에 달한다.

화재가 발생한 지난 17일부터 이날 현재까지 주민 피해 신고는 총 1,582건이 접수됐다.

기관지 통증·두통·피부 발진 등 인적 피해는 790건, 분진 등으로 인한 물적 피해는 586건 등이다.

공장 재가동에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광주시와 광산구는 고용위기지역·특별재난지역 지정 건의 등 피해 최소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

다만,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되려면 신청 직전 1년간 고용보험 피보험자 증감률이 5% 이상 감소하거나 같은 기간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가 20% 이상 증가해야 하는 등 조건이 매우 까다롭다. 앞서 광주시는 2023년 법정관리를 신청한 대유위니아 사태 당시 고용위기지역 지정을 정부에 요청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특별재난지역지역 지정 또한 ‘재난이 발생한 해당 지자체의 행정능력이나 재정능력으로 재난 수습이 곤란해 국가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만 해당해 선포 요건이 제한적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재가동과 피해 복구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다양한 행정·재정적 지원을 검토하고 있다”며 “근로자 고용안정, 인근 주민 불편 최소화와 일상회복 등 사고 피해 최소화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7일 오전 7시 11분께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2공장 내 정련 공정에서 시작된 화재는 이날 오전 11시 50분께 완전 진화됐다.
길용현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