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광주 자치구 소상공인 지원 응원한다
사설

<사설> 광주 자치구 소상공인 지원 응원한다

광주지역 자치구들이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섰다. 12·3 비상계엄으로 촉발된 탄핵정국 등으로 정치·사회적인 혼란이 커진 데다 고물가·고환율·고금리 등 삼고 현상에 이어 내수 침체까지 겹치면서 소상공인들이 직격탄을 맞고 있는 현실에서 자치구의 이 같은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

실제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대표적 지표인 지역 중대형 상가 공실률이 지난해 4분기 기준 16.0%를 기록하고 있고 지역 여행업계 매출 손실이 300억 원 이상으로 추산되는 등 지역 소상공인들은 업종을 가리지 않고 턱턱 숨이 막힐 지경이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이런 차제에 광주의 각 자치구가 나서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하는 등 민생 회복에 나선 것은 소상공인에게 작은 희망이라도 안겨준다는 점에서 당연하고도 적절한 조치다.

남구는 광주은행·광주신용보증재단과 특례보증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모두 48억 원 규모의 금융자금을 긴급 지원한다. 또 구비 1억5,792만 원을 추가로 투입해 금융 이자 비용과 보증 수수료를 지원한다.

북구는 지역 자치구 최대 규모로 3무(무담보·무이자·무 보증료) 특례보증 지원에 나선다. 특례보증 지원에는 북구를 비롯해 협약에 참여한 14개 지역은행이 총 4억3,000만 원을 광주신용보증재단에 출연해 자치구 최대인 52억7,000만 원 규모로 추진한다. 이 중 3억 원을 고사 위기에 놓인 관광업계에 우선 배정해 상생을 도모한다.

서구는 특례보증 지원을 기존 1억5,000만 원에서 3억5,000만 원으로 확대해 자금난 해소를 지원하고 있으며 소상공인 경영지원센터를 통한 경영 컨설팅과 마케팅 지원으로 경쟁력을 높인다. 동구 역시 광주은행과 협력해 관내에 사업장을 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특례보증 지원에 나서고 있다.

광산구도 지난 14일 송정 5일 시장 화재로 피해를 당은 상인들에게 긴급 생계비 지원과 함께 지역 영세 임차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지난해 연 매출 기준 카드수수료 0.5%를 지원하고 최대 2,000만 원 무담보대출 등을 시행한다.

광주 자치구의 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 회복 정책은 풀뿌리 민주주의의 근간인 기초단체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책무 중의 하나다. 더 빠르게 더 가까이 지역민에게 다가가는 광주 자치구의 소상공인 지원을 응원한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