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금호타이어 화재·대선도 '노쇼' 사기라니
사설

<사설> 금호타이어 화재·대선도 '노쇼' 사기라니

최근 광주·전남에서도 예약이나 주문을 한 뒤 잠적하는 이른바 '노쇼' 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가운데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나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악용한 사기 행각까지 잇따르고 있어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와 경찰의 강력한 단속이 요구된다.

노쇼 사기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제 상황에서 자영업자나 소상공인 등을 두 번 울리는 죄질이 불량한 범죄다. 올 1월부터 4월까지 광주 61건, 전남 23건 등 84건의 노쇼 피해가 발생했다. 더구나 매달 증가세를 보여 문제의 심각성을 더한다. 여기에 최근에는 대선이나 금호타이어 화재 등을 악용한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어 해도 해도 너무한다는 사회적 비판과 분노가 들끓고 있다.

최근 광산구 한 음식점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선거캠프 관계자라며 전화를 걸어 20여 명의 단체 식사를 예약했다. 그러면서 고가의 양주를 대신 구매해주면 식사 대금과 함께 결제하겠다고 말했다. 선거운동이 한창인지라 이들의 말을 믿은 식당 주인은 2,400만 원을 특정 계좌에 입금했다. 이후 예약자와는 연락이 끊겼다. 사기였다. 대선이 노쇼 사기에 악용된 것이다.

남구의 한 음식점 업주도 금호타이어 화재 진압을 하는 소방관들에게 보낼 음식이라며 15인분의 음식 주문을 받았다. 고생하는 소방관들을 위한 음식이라고 해 평소보다 저렴하게 결제하기로 했다. 그러나 음식을 가져갈 시간까지 나타나지 않다가 지금 가고 있다며 급하게 방역복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했다. 소방관을 빙자한 노쇼 사기였다.

노쇼 사기가 공무원 등 믿을만한 신분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 피해를 키웠었는데, 최근엔 더욱 교묘해지고 다양해지면서 화재로 고통받고 있는 금호타이어나 대선 후보 등을 악용하는 사례까지 발생한 것이다. 피해 예방과 더욱 강력한 단속이 필요하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 역시 낯선 단체의 주문이나 대리구매를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확인하는 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노쇼 사기는 반드시 근절돼야 한다.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