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여파로 일반 자영업은 물론 일반 대기업들의 고용시장도 타격을 받은 것이다.
29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500대 기업 중 국민연금 가입 여부를 알 수 있는 498개 사의 국민연금 가입자 추이를 조사한 결과, 6월 말 기준 국민연금 가입자는 총 165만345명으로 코로나19가 본격 확산된 2월부터 6월까지 1만1,880명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국민연금 가입자가 3,747명 늘어난 것과 상반된 결과로, 코로나19가 기업의 고용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업종별로는 22개 업종 중 절반이 넘는 15개 업종에서 국민연금 가입자가 감소했다.
유통을 비롯해 식음료, 생활용품, 서비스 등 주로 B2C 기업들의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유통업종의 경우 2만4,294명이 국민연금을 신규 취득한 반면 2만6,813명이 국민연금 가입 지위를 상실해 실질 감소 인원이 2,519명에 달했다.
이어 건설·건자재(-1,947명)·식음료(-1,729명)·공기업(-1,701명)·생활용품(-1,486명)·서비스(-1,428명)·자동차·부품(-1,049명) 등이 1,000명 이상 줄었다.
반면 석유화학업종은 순증 인원이 2,016명으로 전체 업종 중 유일하게 1,000명 이상 증가했다.
정유업체들이 올해 상반기 최악의 실적을 냈지만, SK이노베이션이 해외에 배터리 공장을 신설하는 등 일부 시설 투자계획으로 인해 일시적인 인력 투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석유화학업종의 인력은 2월에 3,594명이 순증한 뒤로 6월에 1,351명이 감소하는 등 3월 이후 계속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기업별로는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CJ CGV의 감소 인원이 2,508명으로 가장 많았다.
코로나19로 극장 관객이 급감하면서 일부 극장을 폐쇄하고 정상 영업점도 상영회차를 줄인 탓이다. CGV는 지난 3월 창사 이래 첫 희망퇴직을 실시했다.
이어 롯데쇼(-1,601명), 아성다이소(-1,259명), GS리테일(-1,121명)의 직원이 각 1,000명 이상 줄어드는 등 유통기업의 타격이 컸다.
반대로 국민연금 가입자 수가 증가한 곳은 201곳에 그쳤다.
이중 쿠팡이 3,521명 늘어 인원이 가장 많이 늘었다. 코로나19로 온라인 쇼핑몰 등의 배송 물량이 급증하면서 배송직원을 대거 채용한 때문이다.
2019년 말 5,000여명이던 쿠팡의 배송직원은 현재 1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흡수합병한 한화솔루션(3,130명)과 삼성전자(1,153명)도 고용이 1,000명 이상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