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광군 ‘인구 10만 자립도시’ 도약 시동
전남서부

영광군 ‘인구 10만 자립도시’ 도약 시동

신재생에너지 전환 중심도시 조성
일자리 창출·경제 활성·인구 유입 등 기대
'지산지소' 전력소비 구조변화 추진

영광 칠산 바다에 설치된 풍력발전소. 영광군 제공
영광군이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 주도형 성장 모델을 제시하며, ‘인구 10만 자립 도시’ 도약을 위한 청사진을 구체화하고 있다.

해상풍력과 태양광 등 자연 자원을 신재생에너지 산업으로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산업단지와 고용 창출, 인구 유입까지 이어지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25일 영광군에 따르면 영광은 신재생에너지의 최적지로 손꼽힌다. 연간 일사량은 4.0~4.2㎾h/㎡에 달하고, 평균 풍속은 6.0㎧ 이상을 기록한다. 이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적합한 조건으로, 영광군은 수년 전부터 다수의 민간과 공공 에너지 기업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영광군은 천혜의 자연 여건을 ‘지속 가능한 성장의 에너지’로 전환, 에너지 중심도시로의 도약을 본격화하고 있다.

에너지 중심도시 전략의 첫걸음은 전력 생산이다. 영광군은 해상풍력 및 태양광 발전을 본격화하며 자체 에너지 생산 역량을 확보하고 있다. 단순한 에너지 공급지 역할에 그치지 않고 생산된 전력을 중심으로 배후 산업단지와 물류·정비 기능을 갖춘 거점기지를 조성하고, 관련 기업과 기관 유치에 나선다는 복합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O&M(Operation&Maintenance) 거점기지’ 구축은 전략의 핵심이다. 기지는 해상풍력 유지관리 기능을 갖춰, 부품 정비, 기술지원, 선박 관리 등 고부가가치 산업을 함께 수반한다.

영광군은 지역에서 생산되는 것을 지역에서 소비하는 ‘지산지소’를 원칙으로 전력 소비 구조 변화를 준비하고 있다.

지역에서 생산된 전력을 지역 내에서 우선 소비하고, 에너지 생산지로서의 혜택을 주민과 기업에 돌려주는 전력 요금 차등제도 함께 추진한다. 영광군은 제도가 도입되면 전력 사용 비용이 낮아지면, 기업에 매력적인 입지 조건을 갖춘 산업지로 평가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영광군은 O&M 거점기지 조성 성과를 기반으로, 에너지 특화 국가산단 지정을 준비하고 있다. 영광군은 에너지 생산·소비·산업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바탕으로, 중앙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국가 단위 산단 지정을 모색하고 있다. 첨단기술, 수소 산업, AI 및 데이터센터 등 전력 다소비형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에 나섰다.

영광군은 에너지 중심도시 조성을 추진해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견인하고, 인구 증가를 끌어내겠다는 목표다. ‘인구 10만 자립 도시’는 에너지에서 시작해 산업, 일자리, 주거, 교육, 문화까지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종합 계획인 셈이다.

영광군 관계자는 “에너지는 더 이상 대규모 사업자의 소유물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이 함께 만들어가야 할 공공자산이다”며 “영광이 가진 자원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사슬을 만들고, 주민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돌아가는 구조를 정착시키겠다”고 밝혔다.
서희권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