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3일 전남 축산농가와 전남도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전남 13개 자치단체 한우농가 79곳에서 518마리가 브루셀라병에 걸려 살처분됐다. 무안군이 45곳으로 가장 많고 나주 9곳, 신안 5곳, 함평 4곳, 영암 3곳이다.
특히 무안에서는 1,300여 농가 중 지난해와 올해 브루셀라 누적발생 농가만 80농가이고 양성률(감염률)이 6%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무안군에 인접한 신안에서도 양성률이 5%에 이른다.
전남지역 브루셀라병은 2016년 1마리, 2018년 11마리에 그쳤지만 2019년에는 6농가 122마리, 2020년 87농가 535마리로 2~3년 사이에 급증하고 있다.
소 브루셀라병의 잠복기와 전파력을 고려하면 앞으로 전남 축산농가 피해는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소 브루셀라병이 날로 확산되고 있지만 방역당국은 사후약방문식으로 땜질 처방만하고 있어 축산농민들이 강하게 항변하고 있다. 특히 이들 농가는 살처분보다는 예방백신 접종을 요구하고 있다.
더 큰 문제는 브루셀라병이 처음 발생했을 땐 시세의 80%를 보상받지만 5년 내 2회 발생 때는 살처분 보상금이 아예 지급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는 자칫 농가의 신고 은폐 여지까지 있어 브루셀라병 예방을 더욱 어렵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 한우협회 광주전남도회 문대렬 사무국장은 "소 브루셀라병이 한번 발생하면 해당 농장은 물론 인근 농장까지 위험에 노출된다"면서"농가 입장에선 겉보기엔 멀쩡한 소를 위험 가능성만으로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하고 헐값에 도축할 순 없는 노릇이다"고 고충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브루셀라병은 주로 후진국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뉴질랜드 등 축산 선진국에서는 효과적인 살처분·백신 정책으로 근절에 성공했다"면서 "선별 살처분 방식으로 근절되기 어렵다는 건 무안의 사례만 보더라도 알 수 있다. 발생이 빈번한 지역을 중심으로 백신 접종을 추진해야 다른 지역의 확산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무안 축산농가 관계자는 "브루셀라병이 발생하면 해당 개체만 살처분하고 정부로부터 살처분 보상금을 받게 된다"며 "하지만 선별 살처분 방식만으로는 브루셀라병 감염을 근절하는데 역부족이다. 브루셀라병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백신 접종을 허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우질병방역협의회도 소 브루셀라 감염 예방을 위해 백신 도입 검토가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김영원 한우협회 국장은 "전국단위 일제 백신 접종에 대한 부담감이 있다면 무안과 나주 등 질병 발생이 빈번한 곳을 한정해서라도 백신 접종을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자체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를 외면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한 관계자는 "국제 기준에 따라 질병 양성률이 5% 이상 나오면 백신 접종을 검토할 수 있지만, 현재 전국적으로 0.09% 수준이다. 백신 도입이 어렵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