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교과서’ 도입 임박에도…학교 디지털 인프라 준비 미흡
사회

‘AI 교과서’ 도입 임박에도…학교 디지털 인프라 준비 미흡

광주 1차 점검 진단 학교 3교뿐
전남 830교 인프라 조사 못 끝내
교사 업무 과중에 교실대란 우려
교육부, 도입 시기·과목 검토 중

지난 9월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4 에듀테크 코리아 페어에서 관람객들이 부스를 둘러보고 있다. 연합뉴스
내년 3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무선속도, 디바이스 수량 확보 등 학교별 디지털 인프라 준비가 미흡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대다수 교원이 ‘관리 인력 부재’를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큰 장애물로 꼽은 만큼 인프라 확충 없이 시행될 경우 교사들의 업무 과중으로 오히려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27일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국회 교육위원회)이 공개한 ‘2025년 AIDT 대상학년(학교) 디지털 인프라 1차 진단결과’에 따르면 광주시교육청은 지역 전체 진단대상 학교 321교 중 3교(0.93%)만 무선속도 1차 점검을 완료했다.

디바이스 성능, 충전보관함, 추가 인력 지원 등 1차 점검이 완료된 학교도 3교뿐이었고, 디바이스 수량은 3교만 점검이 완료돼 이중 1개교는 내년 2월 보급·교체하기로 했다.

전남도교육청도 전체 진단대상 학교 830교 중 1차 점검을 완료한 학교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프라 점검이 완료되면 디바이스 보급, 교체, 성능 및 속도개선이 필요한 학교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확장 가상 세계(메타버스)·대화형 AI 등 AI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교과서로, 같은 수업을 받더라도 학생별로 기초학습 또는 심화학습 등 맞춤형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2025년 초등학교 3~4학년, 중1, 고1부터 시작해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과목별로는 2025년엔 수학, 영어, 정보 교과를 시작으로 2028년까지 국어, 사회, 과학, 역사 등의 교과에 도입된다.

광주교육청은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대비해 지난해부터 스마트기기 보급 사업으로 교육용 태블릿PC, 노트북, 충전보관함 등을 초·중·고교에 보급하고 있다. 올해는 초·중·고·특수학교 254억원 등을 투입했으며, 내년도에도 120억원이 편성된 상태다.

지난해에는 중1~고3 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8만 5,887대(노트북 4만 3,085대·태블릿 4만 2,802대)를 보급했고, 올해는 중1 학생을 대상으로 노트북 1만 4,211대를 지급했다.

전남교육청도 내년 본예산에 72억원을 편성했고, 지난 7월 초등학교 3~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영어·정보 교과에 우선 보급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남교육청 관계자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과 시기 등에 대한 교육부의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아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며 “예산 한계로 특별교부금 지원 없이는 전면 도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현재 일부 교과에 대해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지 않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도입과목과 시기가 대폭 조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교육감협의회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교과목을 조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시도교육청 예산 확보, 보안시스템 강화, 교원 연수 등을 고려할 때 2026년 이후 AI 디지털교과서 적용 과목 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었다.

다만 내년에는 예정대로 수학, 영어, 정보 과목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

김용서 교사노조연맹 위원장은 “지난 3월 교사노조연맹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교 디지털 기반 교육 혁신의 가장 큰 장애물로는 현장 교사 74.3%가 ‘디지털 기기 유지, 보수, 관리의 어려움(관리 인력 부재)’을 꼽았다”며 “학교 인프라 진단결과대로라면, AI디지털 교과서의 도입이 오히려 교사들을 교육에 집중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크게 우려된다”고 말했다.

백승아 의원은 “교육부의 AI 디지털교과서 부실 도입은 교육혁명이 아니라 교육 대란이 우려된다”며 “인프라 구축 등 모든 준비가 미흡해 교사들이 본연의 교육 활동에 집중하게 되기는커녕 인프라 관리까지 떠맡게 될 상황이라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환준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