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농업소득 14% 줄고 어업소득은 30% 늘어
농수축산

작년 농업소득 14% 줄고 어업소득은 30% 늘어

■통계청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
폭염·폭설에 축산가구 피해 늘어
전남 농가소득 전국서 가장 낮아
‘금 김값’에 어가소득은 최대

작년 폭염·폭설 등 이상기온 영향으로 농업소득은 14% 줄어든 반면 어업소득은 김값 상승 등 영향으로 30% 뛰었다. 강원, 경남, 제주 지역 농가소득이 전국 평균보다 높고, 농도 전남의 농가소득은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소득은 5,059만7,000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에 농업외소득, 정부 지원 등 이전소득, 일시적인 비경상소득 등을 모두 합한 것이다.

농가소득은 전년 10.1% 늘어났지만 1년 만에 다시 감소했다.

작년 폭염·폭설로 축산가구 피해가 늘면서 농업소득이 14.1% 줄어든 영향이 컸다. 농업소득은 2023년 1,143만원에서 지난해 958만원으로 감소해 1,000만원 밑으로 내려갔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값 하락과 한우·육계 도매 가격 하락, 한우 사육 마릿수 감축 등도 농업소득 감소의 원인으로 꼽힌다. 인건비와 전기료 상승 등으로 인해 농가경영비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농업외소득(+0.7%), 이전소득(+6.1%), 비경상소득(+5.5%) 등은 모두 증가했다.

농업외소득 증가 요인은 근로수입과 임대수입 증가에 따른 것이다. 다만 농업외소득 중 숙박·음식점업 등 겸업소득은 3.1% 줄었다.

이전소득 증가는 공익직불금 등 공적보조금이 전년 대비 7.2%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공익직불금 지급액은 2조5,231억원으로 3.1% 늘었고 지방자치단체의 농업인수당은 8,255억원으로 2.5% 증가했다.

한편 전남의 농가소득은 4,568만2,000원으로 전년보다 8.0% 감소해 전국에서 가장 많은 감소율을 보였다.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931만7,000원으로 3.6% 증가했다.

작년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전년보다 1.3% 늘어난 6억1,618만5,000원이었다. 특히 재고, 금융자산 등 유동자산이 전년보다 11.9% 늘었다.

농가 부채는 평균 4,501만6,000원으로 8.3%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스마트팜, 축사 현대화 등 투자 증가와 정책자금 확대·상환 연기의 영향으로 농업용 부채가 6.8% 늘었고 숙박업 등 사업다각화를 위한 투자 증가로 겸업·기타용 부채가 13.3% 늘었다.

겸업농가는 전업농가에 비해 농가소득과 가계지출이 더 많았다. 2종 겸업농가의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산, 부채는 농가 평균보다 모두 높고, 전업농가는 농가 평균보다 모두 낮았다.

축산 농가의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산, 부채가 농가 평균보다 모두 높고, 논벼 농가와 채소 농가, 기타는 농가 평균보다 모두 낮았다.

경영주 연령별로는 60세 미만과 60~69세 경영주 농가의 농가소득, 가계지출, 자산, 부채는 농가 평균보다 모두 높고, 70세 이상 경영주 농가는 평균보다 모두 낮았다. 전년대비 60세 미만(-6.4%) 경영주 농가의 농가소득은 감소한 반면, 60~69세(4.1%), 70세 이상(1.9%) 경영주 농가는 증가했다.

작년 어가의 연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6.2% 늘어난 6,365만2,000원이었다. 어가소득은 1963년 통계 집계 이후 최대이고, 증가율은 2001년(17.9%) 이후 최대 폭이다.

어업소득(2,788만5,000원)이 전년보다 30.2% 늘면서 어가소득을 끌어올렸다. 작년 김값이 2배 가까이 상승했고 일부 어종 단가도 개선된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어가의 연평균 가계지출은 3,582만1,000원으로 전년보다 5.7% 늘었다.

어가의 평균 자산은 5억3,386만8,000원이고, 평균 부채는 7,082만6,000원으로 최대였다. 각각 전년보다 3.8%, 6.5% 늘었다. 이연수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