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농업 환경변화·소비 트렌드 선제 대응
전남서부

강진 농업 환경변화·소비 트렌드 선제 대응

농업인 보호 농정분야 업무보고회
고품질쌀 브랜드·대체작목 육성
외국인 계절근로자 사업 등 확대

강진군청
강진군이 농업환경 변화와 소비 트렌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강진군은 최근 군청 회의실에서 2024년 농정분야 업무보고회를 개최, 농업인을 보호하고 농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대책을 논의했다.

먼저 군은 고품질 쌀 계약재배를 통해 강진쌀 이미지를 제고하고 프리미엄급 브랜드를 육성키로 했다. 이와 함께 과잉 생산되는 쌀 비중을 줄이고 농가 소득 증대를 위해 논콩 재배면적을 확대할 예정이다. 재배농가에 파종기·제초기 등 농기계와 유기질 비료 및 병해충방제비 지원도 검토한다.

올해 논콩은 벼 재배면적 9,270㏊의 1.9%인 176㏊를 재배했지만 내년에는 300㏊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논콩 재배가 일손이 많이 들고 작업이 힘들다는 인식이 있지만, 파종 후 제초작업을 농한기에 하기 때문에 오히려 인력 확보와 농작업에 여유가 많다. 또한 벼에 비해 2배 이상 매출로 고소득이 가능해 군에서는 적극 증대를 강조하고 나섰다.

농촌 일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외국인 계절 근로자 사업도 확대한다. 공공형 계절 근로 사업을 도입해 농가에 외국인 근로자 노동력을 제공할 계획이다.

청년 농업인 육성과 농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도 의견을 모았다. 스마트팜 임대사업, 묵은지 사업 등의 지원을 확대하고 자격 요건을 완화해 인구 증가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이와함께 스마트팜 시설 온실을 4㏊이상 조성, 청년 농업인과 농가 소득 증대에 도움을 준다는 계획도 수립했다.

농정정책의 마지막인 ‘유통’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비자와의 최접점에서 만남을 확대한다.

강진군은 특산물인 쌀귀리의 소비증대를 위해 지금까지 16개 업체, 26개 품목의 쌀귀리 식품을 개발했으며, CJ제일제당과 협업해 햇반에 원료를 납품해 왔다. 내년에는 쌀귀리 특구단지 내 팜파티를 추진하고 포토존 및 산책로를 조성해 고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한다. 이를 통해 ‘관광객 유입’의 고부가가치 창출도 노린다는 계획이다.

강진은 전국 쌀귀리 생산량의 64%를 생산하는 최대 주산지다. 한국농업기술진흥원이 선정한 종자 보급지역을 통해 우량 종자를 공급하고, 287농가 838㏊의 계약재배를 통해 연간 2,900톤을 생산하는 만큼, 쌀귀리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도를 높이고, 접근 채널을 다양화해 소비증대를 높이는데 주력키로 했다.

현재 군은 강진 쌀 판매 유통망 확대를 위해 대도시 지역 대형거래처 개척 및 자매결연 도시 유통업체에 납품을 추진 중이다. 내년부터 관내 유통망인 ‘초록 믿음’의 온라인 직거래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 강진군 농특산물의 마케팅활동을 강화하고, 대형쇼핑몰 연계 특판 행사 및 매체 활용 홍보 강화를 통해 소비자의 인지도 상승을 추구한다는 계획이다.

강진원 군수는 “내년은 농업인이 직접 피부로 와닿을 수 있는 다양한 지원책을 펼치겠다”면서 “앞으로도 농업인이 아무 걱정 없이 영농에만 전념하고 일정 수준의 소득이 보장될 수 있도록 농업환경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선제적인 정책들을 발굴·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태선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