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남대학교 민주주의와공동체연구소는 지난 28일 오전 전남대 사회대에서 ‘제22대 국회에 바란다’라는 주제로 국민의견 발표회를 열었다. 전남대 민주주의와공동체연구소 제공 |
전남대학교 민주주의와공동체연구소(소장 김재기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지난 28일 전남대 사회대에서 ‘제22대 국회에 바란다’라는 주제로 국민의견 발표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민주주의와공동체연구소는 지난 3개월간 시민, 학생, 국제이주자, 재외동포 등으로부터 폭넓은 의견을 수렴했다.
김재기 교수는 22대 국회 임기 동안 미국 의회에서 5·18 진상규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주요 활동으로 △5·18 관련 미공개 비밀자료 공개 △체로키 파일 등 기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미국의 개입에 대한 학술회의 △5·18 참여자의 미하원이나 대학에서 생생한 증언 활동 △미 상하양원에서 5·18에 대한 지지결의안 도출 △카터정부의 5·18 개입과 신군부 인정에 대한 청문회 실시 등을 제시했다.
이어 임영언 재외한인학회 회장(조선대)은 내외동포들의 전남 거주를 위한 법안 마련을 제시했고, 전남대 지역문제해결팀 박연주 정치외교학과 학생은 지역소멸위기에 대한 대응으로 ‘이민청’을 전남으로 유치하자고 제안했다.
김미남 조선대 교수는 광주 민간 군공항 조속한 이전과 전남지역 의대 설치 등을 제시했다.
특히 김성황 동학농민혁명유족회장과 박용규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 광주동학농민혁명유족회는 동학농민혁명 2차 참여 희생자에 대해 서훈 추서를 요청했다.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일제의 국권침탈을 반대 하거나 독립운동을 위해 일제에 항거한 자 또는 순국한 자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도 서훈 추서의 근거가 된다는 입장이다.
김재기 교수는 “민의의 전당인 국회에서 국민의 의견을 하나 하나 꼼꼼하게 살펴보고 의정활동에 반영하기를 바란다”며 “동학농민혁명 서훈추서, 5·18 진상규명, 한인디아스포라 독립운동가 서훈 등 국가보훈부가 포함된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환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