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철희 조선대 의대 약리학 교수 |
치매 전조 증상으로서의 건망증의 특징은 익숙한 일이나 장소에 대한 건망증이 잦아지고 그 정도가 일상 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정도이거나, 힌트를 줘도 회상이 안되며 더 진행되면 기억력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 정도가 아니면 치매보다는 노화로 인한 건망증일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핸드폰을 자주 두고 오면 건망증이지만, 핸드폰을 어디에 사용하는 물건 인지를 모르면 치매라고 할 수 있다.
● 기억력 저하 및 치매 관련질환 =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비타민(B1, B6, B9 및 B12) 결핍, 파킨슨 병, 당뇨병, 만성 변비, 치주염, 불면증, 위절제(비타민 B12 결핍 가능), 에이즈, 매독 등
● 기억력 저하 관련 약물 및 식품 = ①항콜린성 약물: 항히스타민제, 항콜린성 일부 약물(멀미약, 항우울제, 항조현병제, 지사제, 위장약, 요실금 치료제, 파킨슨 병 치료제) ②진정-수면제: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및 졸피뎀 등 ③마약성 진통제 및 스테로이드 소염제 ④과도한 카페인 및 알코올
● 뇌 건강에 좋은 식품 = ①오메가-3 지방산 함유 : 견과류(호두, 아몬드, 캐슈넛) 및 씨앗류(치아씨 , 아마씨) ② 항산화물질 함유: 오일(올리브 오일), 등 푸른 생선(연어, 고등어, 참치 등), 베리류(딸기, 블루베리, 라즈베리), 녹색 채소(시금치, 케일, 브로콜리 등), 강황(커큐민), 무카페인 차(페퍼민트, 로즈마리, 카모마일, 은행잎, 황칠잎) ③ 콜린 함유: 계란 노른자, 육류 간, 등 푸른 생선, 콩, 브로콜리, 양배추 ④ 구강 및 장 프로바이오틱스(유산균)
● 건망증 극복 방법 = 늙어 가면서 건망증을 두려워하고 자가 테스트하면서 스트레스만 받지 말고, 극복하는 방법을 개발한다.
①말로 중얼거려 청각을 자극한다(무엇을 해야지, 이름 등 반복을 습관화).
②행동도 겸비한다(손가락으로 가르키면서 전등 껏고, 어디에 주차했고 등 말로 한다).
③메모(포스트잇, 수첩), 스마트폰 다이어리 및 알람을 활용한다(당뇨 및 고혈압 약 봉지에 메모 및 복용 시간 알람).
④주차한 차를 주변과 함께 디카로 찍어 둔다.
⑤ 옷 갈아 입거나, 서두를 때 5초간 소지할 물품을 점검하고 자리를 뜬다.
⑥암기할 때 이야기나 연상 기억법을 활용한다(한라산 높이 1950m, 6·25전쟁 발발 년도).
⑦ 새로운 정보는 기존에 잘 알고 있는 정보와 연관 지어 암기하고 기록한다 (이미자가 아니고 임미자, 누구의 친구의 누구). /최철희 조선대 의대 약리학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