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 민생경제 살리자”…광주·전남 지역사회 ‘혼연일체’
탑뉴스

“최악 민생경제 살리자”…광주·전남 지역사회 ‘혼연일체’

지역경제 회복 프로젝트 분주
선결제·지역화폐 확대 등 총력
체감도 큰 수당 지급도 잇따라

광주시청
내수 침체, 탄핵 정국, 여객기 참사 등으로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광주·전남 지역사회가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올해 예산의 상반기 조기집행 기조를 세운 지자체들은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한 선결제 켐페인, 지역 화폐 발행 확대에 나서는가 하면 명절 수당·지원금 지급을 통해 소비 진작과 내수 활성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경제·산업계와 공공기관 등도 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 살리기에 함께 팔을 걷어 붙였다.

21일 광주시에 따르면 시와 시의회, 5개 자치구, 경제·산업계 60여개 기관·단체는 오는 23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범기관 결의대회를 연다.

결의대회에서는 경기 침체와 정국 불안 속에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까지 겹쳐 어려움이 가중된 지역경제 위기 극복과 재도약 의지를 다진다.

이들은 △일자리 창출 △투자 활성화 △소비 촉진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등 다양한 경제 분야 대책과 방안도 논의한다.

소비 촉진을 위한 선결제, 소비촉진 캠페인 등 다양한 정책도 추진된다.

모든 기관이 선결제에 동참하고, 중소기업청과 소상공인진흥공단은 온누리상품권 발행을, 자치구와 공공기관 등은 소비 촉진 캠페인을 벌인다.

앞서 광주시는 지역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공공배달앱 연말 특별할인 이벤트를 진행했으며 광주시청 전 직원 인근 식당 이용하기, 1월 동안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10% 특별할인 등을 추진하고 있다.

또 중소기업 특례보증 규모 1,700억원, 자금지원 3,000억원, 경영안정자금 2,700억원 확대와 중소금융권 대출이자 지원, 전통시장 및 상점가 특성화 사업 등도 펼치고 있다.

전남도는 일찌감치 중소기업, 소상공인, 관광업계, 농어민, 취약계층 등을 대상으로 23개 사업 총 1,185억원 규모의 민생경제 종합대책을 수립해 시행하고 있다.

세부 사업으로는 △지역사랑상품권 발행(175억원) △취약계층 어르신 난방비(77억원) △운수종사자 생활안정 자금(34억원) △음식점 소비 촉진(44억원) △여수산단 화학플랜트 중소기업 고용유지(15억원) △한우 사육 농가(187억원) △김 가공업체(17억원) 등이다.

여기에 전남도는 자체 예산으로 3,500억원 규모의 지역사랑상품권을 발행, 할인율을 10%로 확대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전남도와 시군, 공공기관, 민간기업, 금융기관 등은 업무추진비, 일반운영비 등을 예산 범위 내에서 선결제하는 ‘선선 결제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일부 지자체들은 주민 체감도가 높은 수당·지원금 카드를 꺼내들었다.

영광군은 자체 재원을 활용해 주민 1인당 100만원씩 민생경제회복금을 지급한다. 올해 상반기(설)과 하반기(추석) 2회에 걸쳐 50만원씩 영광사랑카드에 지급해 현지에서만 사용할수 있도록 했다.

보성군도 군민에게 1인당 30만원씩 보성사랑지원금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019년부터 보성군이 모아온 재정안정화기금 중 예산 112억원을 활용해 군 전체 인구 3만8,000여명에게 보성사랑상품권 형태로 지급한다.

나주시는 도내 5개 시 지역에서 처음으로 시민 생활 안정을 위해 1인당 10만원씩 민생경제 회복 지원금을 지급하고, 상반기 내 모든 군민에게 1인당 20만원씩 지역경제회복지원금 지급을 약속한 강진군도 추진 계획 수립 등 행정 절차를 검토하고 있다.

더불어 대부분 지자체에서 정부 방침에 발맞춰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에 나설 방침이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 신속 집행 목표를 역대 최고 수준인 중앙 67%, 지방 60.5%, 중앙 및 지방 공공기간 57% 이상으로 설정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민생경제 안정과 얼어붙은 내수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모든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다”며 “다만 지자체들의 재정 여력이 넉넉치 않은만큼 정부와 정치권 여야는 하루라도 빨리 민생 추경을 열어 무너진 서민들의 일상 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길용현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