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전문 명문화’ 5·18 재단, 국민동의청원 돌입
사회

‘헌법 전문 명문화’ 5·18 재단, 국민동의청원 돌입

내달 20일까지 5만명 이상 목표

5·18기념재단이 5·18민주화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명시하기 위해 ‘국민동의청원’ 운동에 돌입했다.

26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국민청원운동은 지난 12·3 내란으로 훼손된 대한민국의 헌정질서를 바로 세우고 5·18정신을 헌법 전문에 명문화하자는 국민적 요구가 다시 힘을 얻는 상황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동의 목표는 오는 6월 20일까지 5만 명 이상이다.

청원운동의 첫 출발지는 지난 21일 국회였다. 재단측은 이번 청원운동에 보다 많은 국민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홍보활동을 전개해 나갈 계획이다.

재단측은 지난 21일 이후 유튜브·인스타그램 광고는 물론 전국 시민단체와 연계해 청원의 당위성을 홍보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 광주지역 사적지와 오월길 방문자센터, 송정역 등의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한 청원 참여 호소에도 나서고 있다.

재단측은 이번 국민동의청원을 단순한 입법 요구를 넘어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국민의 의지로 역사를 바로 세우는 중대한 국민운동으로 승화시켜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청원운동기간 이후에도 헌법 전문 수록이 이뤄지는 날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오월정신을 알리기에 활동을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은 “5·18정신은 단순한 과거의 사건이 아니다. 이는 국가폭력에 맞서 국민이 지켜낸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이며 오늘날 우리가 누리는 자유·인권·정의의 초석이다. 이 정신을 헌법 전문에 명시하는 일은 과거를 바로 세우는 것을 넘어 사회 통합과 화해로 나아가는 국가적 약속이자 미래세대를 위한 책임 있는 유산 계승이다”고 말했다.

원 이사장은 “하지만 여전히 일부 세력은 5·18의 진실을 왜곡하고 그 숭고한 정신을 폄훼하고 있다. 이에 대해 5·18단체와 전국 시민사회는 오월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로 인식하고 대선 후보를 비롯해 국회와 각 정당들에게 책임있게 결단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원 이사장은 “대한민국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참여가 헌법을 통한 정의 실현의 시작이자 12·3 내란으로 무너진 헌정질서를 바로 세우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국회 소관위원회에 회부되기 위해서는 한 달 이내 5만 명의 동의가 필요한 만큼 전 국민적인 참여와 관심을 당부드린다”고 호소했다. 이수민 기자

오늘의 인기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