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 의료 공약 발표하는 더불어민주연합 후보들. /더불어민주연합 제공 |
야권 비례대표 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 김윤 후보와 전종덕 후보는 지난 5일 광주시의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남지역 공공 의과대학을 공모로 선정한다는 것은 정치적 논리로, 지역 통합보다 갈등이 커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후보는 “전남 전체를 놓고 어느 규모의 병원이 필요한지 먼저 의견을 수렴하고 대학과 병원을 구분해 추진해야 한다”며 “전남 동·서부권 중 한 곳에만 병원이 들어서면 나머지 한 곳은 종전과 같이 의료 취약지로 남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후보는 “전남도로서도 공모를 의과대학으로 한정해 추진하고 병원 의제는 분리하면 정치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도 제안했다.
전 후보도 “의료 수요와 지역별 특성에 대한 도민 의견을 충분히 듣고 이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며 “정책 전문가나 전문 의료기관에 의뢰하면 정치적 논리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김 후보와 전 후보는 전남지역 맞춤형 의료공약도 제시했다.
서부권인 목포와 동부권인 순천·여수에 각각 700병상급 대학병원을 설립해 공공의과대학과 대학병원, 지역 의료기관이 협력하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골자다.
지역 필수의료 책임제로 필수의료를 담당할 진료권을 선정하고, 지역의사제 100% 도입으로 지역병원 수련을 의무화한다는 방안이다.
대학병원 적자는 담뱃세를 재원으로 하는 국민건강증진부담금 중 연 2조원씩을 10년간 지역필수의료기금으로 전환하면 충당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럴 경우 전남에 연 800억원, 광주에 연 600억원의 지역필수의료를 위한 재정을 확보할 수 있다고 밝혔다.
노인 의료 돌봄과 관련해서는 병원 입원 진료비 대비 3분의 1 수준이 안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 급여를 두배로 확대하고 요양병원 간병비 급여화를 제시했다.
광주에는 별도의 광주의료원을 설립해 지역 필수의료와 공공의료의 협력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제시했다.
더불어민주연합은 간호사 출신이자 전남도의원을 지낸 전 후보는 비례대표 11번,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인 김 후보를 비례대표 12번에 배정했다.
/길용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