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남형 마을 안전지킴이는 지역 실정을 가장 잘 아는 지역 주민이 재해 위험지역·시설을 직접 예찰하고 고령자, 장애인 등 거동이 불편한 주민들을 위험에 노출되기 전 즉시 보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는 자율방재단과 이·통장을 중심으로 22개 시·군 재해위험 마을을 선정해 마을 안전지킴이를 편성하고 공무원과 경찰 지구대·파출소 등과의 협업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마을 안전지킴이는 ▲침수·산사태 위험지역의 사전 예찰과 긴급 조치 ▲고령자, 장애인 등 대피 지원 ▲마을대피소 운영과 1대1 매칭 관리 등을 주요 임무로 수행한다.
읍·면·동장은 유선 또는 누리소통망(SNS) 단체방을 통해 실시간 지시를 내리고 기상과 현장 상황을 즉시 공유한다. 도는 시·군과 함께 재난관리기금 9억여원을 투입해 마을 안전지킴이 활동 수당으로 1일 5만원을 지원할 방침이다.
또 활동실적이 우수한 시·군에는 장비와 운영비 인센티브도 지급할 계획이다. 일부 시·군에서 청년 자율방재단과 드론순찰대를 시범운영하는 등 방재활동을 다변화할 예정이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기상이변으로 재난의 규모와 속도가 커지는 만큼 민·관이 함께하는 마을 중심 대응체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도민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시군과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정근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