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당국의 허술한 행정으로 공영주차장 내 일부 차량이 장기 방치돼 있는 데다 이용률도 저조해 사실상 주민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
서구는 그 대안으로 계수마을 공영주차장인근에 제2주차장 조성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마저도 토지매수액에 비해 주차면이 턱없이 부족해 예산 효율성 논란까지 일고 있다.
31일 서구에 따르면 서구는 지난 2018년 쌍촌동 유촌초와 동명중 일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약 10억5,000만원의 예산을 투입, 쌍촌동 1328-9 등 2개 필지를 매입, 주차대수 16면의 계수마을 공영주차장을 조성했다.
그러나 이곳은 주차난 지역에서 도보로 10분가량 떨어진 데다 주차장 안내판도 없어 위치조차 찾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무료로 운영한다는 이유로 입·출차를 기록하는 차단기도 설치하지 않아 일명 ‘알박기 주차’ 등으로 사실상 이용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서구는 그 대안으로 2주차장을 조성하기 위해 공영주차장 인근에 새로운 부지 매입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해당 부지는 현재 4개 건물 중 도로변에 위치한 1개 건물주가 매수 거부 의사를 밝혀 ‘ㄱ’ 모양으로 조성될 가능성이 높다. 서구는 나머지 3개 필지의 토지매수액을 포함해 2주차장 조성 예산을 25~27억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그러나 공간적 한계로 예상되는 주차면수는 15면에 불과해 이는 1개 주차면당 1억6,000만원이 소요되는 셈이다.
일부 주민들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공청회도 열지 않고 부지 선정을 검토하고 있다며 예산 사용의 효율성이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주민 A씨는 “보통 1개 필지에 평균 8대의 주차면수를 만들 수 있는데 검토 중인 부지는 공간적 한계로 24면이 아닌 15면이 조성된다. 현재 해당 부지 건물에는 이미 7대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데 고작 8면을 추가하려고 수십억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혈세 낭비다”고 성토했다.
A씨는 이어 “화정2동 공영주차장의 경우 지난 2018년 17억원의 예산을 들여 6개 필지를 매입, 21대의 차량이 주차할 수 있도록 조성했는데 아무리 땅값이 올랐다고 해도 주차면당 예산이 2배 이상 차이 나는 것은 예산 효율성이 떨어진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다른 주민 B씨도 “구청에서는 부지선정 과정에서 주민 공청회가 열리면 부동산이 상승해 공론화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며 “그러나 1주차장도 잘못된 부지 선정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또다시 주민들 의견을 묻지 않고 부지를 선정하려는 것은 이해되지 않는다”고 볼멘소리를 냈다.
이에 대해 서구 관계자는 “아직 계획단계이며 주차장 부지 선정 과정은 주민 공청회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해당 통장과 자치상인회장 등 주민 100여명이 해당 부지를 제안하며 주차장을 조성해 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했다. 연속된 필지를 매입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3개 필지의 토지주 모두 매수 의사를 밝혀 해당 부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며 “1주차장의 경우 차량 장기방치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구 차단기를 설치할 계획이며, 인근 학교 및 시설과 공유주차장 조성도 협의 중이다.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해 주차난 해소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혜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