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생명공학 기술개발 미약
정 철 기자 jcking@chunnamdaily.co.kr
2001년 07월 24일(화) 00:00

선진국 1/10 수준 국가차원 종합연구 계획 시급
유전자조작농산물(GMO)에 대한 안전성 검정기술이나 형질전환 등 우리나라의 농업생명공학 기술개발 수준이 선진국에 크게 뒤떨어져 국가적 차원의 생명공학 연구개발 계획 및 종합조정체제 수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농업과학기술원 이길복 박사(생물자원부)는 24일 오전 전남도농업기술원에서 열리는 ‘21세기 생물농업 전망과 육성방안’ 심포지엄에 앞서 배포한 ‘생물농업의 전망과 금후 방향’이란 제목의 주제발표 논문을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이박사는 이 논문에서 우리나라의 생물 농업 등 생명공학기술개발 수준은 GMO 안전성 검정기술과 판별 기술의 경우 선진국의 30%와 70% 수준에 각각 머물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유전자 조작과 형질전환 및 유전자 발현조작 기술, 특수 기능용 식물이나 가축 형질전환 작목육성도 선진국의 30%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교수는 특히 벼를 제외한 기타 생물체의 게놈프로젝트나 형질전환 곤충 및 미생물 이용기술 등은 선진국의 10분의 1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국내 생명공학기술개발이 저조한 것은 국제적 게놈연구의 참여부족으로 유용유전자 개발 등 생명공학연구의 기본소재가 결핍된데다 형질전환용 백터·형질전환 기술 등 기반기술개발 부족에 따른 기술 사용시 특허료 지불 문제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또 결과위주의 연구로 선진국들의 연구를 모방하는 등 독창적인 연구 아이디어 부족과 연구방향 정립과 연구주제별 역할분담 등 기획관리 부실 등도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따라 이교수는 생명공학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해 범국가적 차원에서 우선 연구분야를 설정하고 연구분야별 유기적 연계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종합적인 연구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높은 위험을 감수할 수 있는 예산 및 고급 연구인력의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투자와 우리 실정에 맞는 자체 게놈프로젝트 추진 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밖에 이교수는 정보통신이나 컴퓨터 과학 등 주변 과학 지원 기반을 구축 할 것과 선진기술을 보유한 외국 연구기관과의 지속적인 기술교류에 나설 것을 제시했다.
반면 그는 ▲범국가 차원의 생명공학 필요성 형성 ▲생명공학 연구를 위한 인프라 구축 ▲국내 고급인력 확보 ▲작물 육종 및 재배기술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집약적 농업기술 확보 등을 긍정적인 점으로 꼽았다.
한편 이날 심포지엄에는 ‘유전공학 이용기술의 현재와 미래’, ‘생물농약개발의 현황과 전망’,‘기능성물질 탐색과 이용 기술개발’이란 제목의 주제도 발표될 예정이다.
정 철 기자 jcking@chunnamdaily.co.kr
이 기사는 전남매일 홈페이지(www.jndn.com)에서 프린트 되었습니다.

URL : http://www.www.jndn.com/article.php?aid=410137005
프린트 시간 : 2025년 05월 23일 02:55:51